목수술

HOME  >  수술안내  >  목수술
처음 아이들이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는 제대로 발음이 잘 되지 않아 혀 짧은 소리를 내게 됩니다. 그렇지만 6~7세가 되도록 이 발음이 고쳐지지 않거나 아이가 혀 짧은 소리를 지속적으로 낼 경우 아이에게 이상이 없는지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설소대 단축증일수도 있으며 심할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설소대단축증(short frenulum) 이란?

아이가 혀짧은 소리를 내는 것은 설소대단축증 외에도 청각장애, 정신지체, 신경운동결함, 언청이, 언어발달지연과 같은 질환이 관계가 있는데요. 그중 설소대단축증이란 혀와 구강저의 연결부위인 설소대가 비후되거나 과도하게 짧아 혀의 전방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를 말합니다.

설소대단축증의 증상

설소대의 단축정도에 따라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심할 경우 유아기 우유병이나 모유를 잘 빨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경도의 설소대단축증으로서 혀가 윗입술과 윗치조, 구개에 닿아야 발음되는 ㄹ, ㅅ, ㅆ, ㅈ, ㅊ 등의 음소 발음 시 지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일단 경과를 지켜보는 보존적 치료를 하지만 언어 장애가 있거나 혀 운동에 제한이 있을 경우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설소대가 얇은 점막층만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단순 절개하면 되지만 설소대가 두텁고 짧을 때는 'Z'자형 절개를 통한 설소대 제거술 및 길이 연장술을 시술해야 합니다.

수술, 언제 하는 게 좋나요?

설소대 단축증은 영아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납니다. 조기 교육, 의료기술 발달, 부모 의식 수준 향상 등으로 환자 연령대가 크게 낮아지긴 했지만 초등학생이 돼서 병원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 1세 정도가 수술하기 가장 적합한 연령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국소마취로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나이가 들어 수술할 경우 이미 언어 습관이 굳어져 수술 후 발음 교정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지속적인 언어 치료 및 노력이 필요하고 언어장애가 남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영유아 때 수술을 하는 것에 대해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인데, 수술 시간이 30분 안팎으로 짧기 때문에 전신마취 등으로 인한 후유증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전문의들의 의견입니다. 오히려 어릴 때 하는 것이 심리적 충격도 덜하고 발음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하는 것이 낫겠습니다.

안경을 맞추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력검사를 하여야 하며 또한 눈의 질환이 없는지 진료를 받아 보아야 합니다. 청력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귀에 대한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청각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은 매우 많습니다. 그 중에서 일단 약이나 수술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에는 보청기보다는 치료를 먼저 받아야 합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중이염입니다.

난청의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순음청력검사와 언어청력검사를 시행합니다. 이 검사를 통하여 주파수별로 어느 정도의 난청이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말소리를 얼마나 알아듣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정밀 청력검사 후에 보청기에 대한 상담을 실시

본인의 청력에 맞는 보청기를 맞추어 봅니다. 사람마다 귀의 모양이 다르므로 귀의 본을 뜬 다음, 1주후에 다시 방문하여 자신의 귀에 맞는 보청기를 착용하게 됩니다. 컴퓨터에 의해 청력에 맞게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실제 생활에서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후에도 1주에 1번씩 2번 정도 보청기적합검사를 하게 됩니다. 이 때 본인이 느낀 불편감이나 잘 맞지 않는 청력을 고치므로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사실 이 과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똑같은 보청기이지만 청력검사가 얼마나 정확하며 보청기적합검사를 얼마나 정확하게 하느냐에 따라서 청력의 개선과 사용자가 느끼는 편안함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안경을 맞추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력검사를 하여야 하며 또한 눈의 질환이 없는지 진료를 받아 보아야 합니다. 청력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귀에 대한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청각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은 매우 많습니다. 그 중에서 일단 약이나 수술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에는 보청기보다는 치료를 먼저 받아야 합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중이염입니다.

난청의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순음청력검사와 언어청력검사를 시행합니다. 이 검사를 통하여 주파수별로 어느 정도의 난청이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말소리를 얼마나 알아듣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정밀 청력검사 후에 보청기에 대한 상담을 실시

본인의 청력에 맞는 보청기를 맞추어 봅니다. 사람마다 귀의 모양이 다르므로 귀의 본을 뜬 다음, 1주후에 다시 방문하여 자신의 귀에 맞는 보청기를 착용하게 됩니다. 컴퓨터에 의해 청력에 맞게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실제 생활에서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후에도 1주에 1번씩 2번 정도 보청기적합검사를 하게 됩니다. 이 때 본인이 느낀 불편감이나 잘 맞지 않는 청력을 고치므로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사실 이 과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똑같은 보청기이지만 청력검사가 얼마나 정확하며 보청기적합검사를 얼마나 정확하게 하느냐에 따라서 청력의 개선과 사용자가 느끼는 편안함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급성 혹은 만성적인 어지럼증이 있는 경우에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검사와 함께 평형기능(전정기능)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 및 평가를 내리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전기안진 검사

각막은 양전하를, 망막은 음전하를 지니기 때문에 그 전위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유용한 검사 방법입니다. 본 검사의 가장 큰 유용성은 중추성 어지럼증과 말초성 어지럼증을 감별하는데 있으며 또한 중추성 어지럼증인 경우 병변부위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자발안진검사, 주시안진검사, 두위안진검사, 두위변환안진검사, 시자극운동검사 등이 본 검사에 포함됩니다.

회전의자 검사

전정안반사는 머리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시각혼란을 말초전정기관의 자극을 통하여 보상적인 안구운동을 유발하여 시각을 안정화시키는 그 목적이 있습니다. 회전의자 검사는 좌우측으로 향하는 다양한 크기의 화전자극을 통하여 이러한 전정안반사를 유발시켜 전정기관의 병번 여부를 감별하는 검사입니다.

온도자극 검사

온도자극 검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전정신경이나 미로의 병적 상태가 어느 쪽 귀에 있는지를 구별하는데 있습니다. 본 검사는 찬물과 따뜻한 물(혹은 공기)로 양측 외이도를 순차적으로 자극하여 반응의 크기를 비교하는 검사로 좌우측 말초전정기관을 개별적으로 자극을 할 수 있으며 자극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세코코이비인후과 사업자등록번호 209-91-44001 대표자 김영훈
ADDRESS 강남구 테헤란로 403 리치타워 303호
TEL 02-555-5075 E-MAIL yscocoent@naver.com
opyright 2015 cocoent.kr All rights reserved